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02

[DB] ORM, MVC에 대해서 처음 배웠을 때 느낌은 SQL에 겨우 적응해서인지 SQL이 편한데 그냥 쓰면안되나? 라는생각이 들었지만, 과제실습을 진행하면서 왜 이것을 써야하는가에 대해 생각하고 구글링해서 이유를 찾으니 배우는 개념에 대한 이해도 좀 더 잘되고 존재의 편리함을 이해 했다. 역시 아는만큼 보이는건가 싶다. 솔직히 코드스테이츠에서 나온 자료에서 이것을 왜 쓰는지에 대한 설명이 많이 부족하다고 느낀다. 그냥 일단 할 수도 있지만 내 성격은 그런게 안되나 보다.. 그래서 검색을 하고 이유를 알고 나니 한결 나아졌고 그 내용도 더 추가해서 글을 쓰게 되었다. MVC design pattern MVC MVC(Model-View-Controller)로 하나의 애플리케이션, 프로젝트를 구성할 때 그 구성요소를 세가지의 역할로 구분한.. 2021. 7. 29.
[DB] SQL 정리 https://www.w3schools.com/sql/default.asp w3schoos 사이트로 기본적인 내용이 전부 있습니다. DATABASE 명령어 설명 CREATE DATABASE database_name 데이터베이스 database_name를 생성 DROP DATABASE database_name 데이터베이스 database_name를 삭제 USE database_name 데이터베이스 database_name를 선택 TABLE 명령어 설명 CREATE TABLE table_name 해당 테이블 table_name을 생성 SHOW TABLES 선택한 데이터 베이스중 모든 테이블을 목록화 하여 보여줌 DESCRIBE table_name DESC table_name 해당 테이블을 보여줌 DESC 줄.. 2021. 7. 27.
[JS] method 정리 math method Method 설명 Math.ceil() 올림 Math.floor() 내림 x.toFixed(y) x의 수를 소숫점 y자리 까지 반올림 Math.pow(x, y) x y제곱 (x ** y) Math.round(x) 가장 가까운 정수 값을 반올림 Math.abs() 절대값 Math.max() 주어진 값 중에서 최댓값 Math.min() 주어진 값 중에서 최솟값 Math.sqrt(x) x에 루트를 씌웁니다. (음수면 NaN 반환) parseFloat() 실수반환, 처음숫자 뒤에만 있는 문자열 무시 parseInt() 정수반환, 처음숫자 뒤에만 있는 문자열 무시 String method Method 설명 str.length 길이 출력 str.indexOf(찾고자하는 값) 위치 출력 str... 2021. 7. 25.
[알고리즘] DFS, BFS 기본 구현 설명 DFS, BFS 처음 볼때에는 정말로 햇갈렸습니다. 하지만 DFS와 BFS의 원리를 알고 DFS의 D의 영어가 Depth(깊이) BFS의 B의 영어가 Breadth(폭, 너비) 라는 것을 알고 있으면 쉽게 햇갈리지 않을거라고 생각합니다. 순열, 중복순열, 멱집합에 대해 앞 게시글에 작성을 하였는데 전부 DFS로 작성을 하였습니다. 물론 BFS로 풀면 풀 수 있지만 효율의 문제여서 상황에따라 BFS, DFS를 잘 쓰는게 중요합니다. 그래서 제가 생각하는 BFS를 쓰는 경우에는 찾고자 하는 그래프의 깊이가 얕거나, 최단 경로를 찾아야할 때에 가장 유용한 방법 이라고 생각합니다. BFS는 층에 개념으로 보는게 더 효율적입니다. 모든 층을 다 둘러 보았을때에 그 다음 층을 보러 가는 것입니다. 1. 사장 .. 2021. 7. 25.
[알고리즘] 멱집합에 대해서 (DFS) 설명 앞선 게시물에서는 순열, 중복순열에서 다루었는데 멱집합과 유사하지만 멱집합은 다른 조건이 붙습니다. 순열, 중복순열의 출력값의 길이가 전부 동일하지만 멱집합은 그렇지 않다는 점이며, 선택의 유무가 자유롭습니다. 멱집합 S={a, b}라 하면, P(S)={ ∅, {a}, {b}, S } 이다. 원소의 개수가 n개인 집합의 부분집합의 개수는 2^n(2의 n승)개이므로, 멱집합의 원소의 개수 또한 2^n(2의 n승)개가 된다. 멱집합은 위상 공간 등의 개념에 사용된다. (n승 맥북으로 어떻게 쓰나요..ㅠ 알려주실분..) 어찌되었든 순열, 중복순열은 n의 r 승의 경우의 수가 나오는 반면에, 멱집합은 2의 n승의 경우의 수가 나온다. 여기서만 보아도 멱집합의 특징을 볼 수있다. 좀 더 작은 경우의 수가 나.. 2021. 7. 25.
[알고리즘] 중복순열, 순열에 대해서 (DFS) 순열 : 서로 다른 n 개 중 r 개를 골라 순서를 고려해 나열한 경우의 수. 순열의 개념은 굉장히 쉽습니다. n개에서 -1씩 빼서 r이 될 때까지 그 숫자를 나열해 곱해주면 그 경우의 수가 나온다. 결국 펙토리얼과 같은개념 입니다. nPn=n(n-1)(n-2)···2·1=n! 중복순열로 이어진다면 n의 r 제곱으로 이어 져서 nPr 로 표현이 가능할 것입니다. 수학적인 개념도 중요하지만 개념을 하는것과 코딩으로 풀어내는것은 좀 더 높은 수준을 요구 하는 것으로 저에겐 보여집니다. 배우는 것 보다 남에게 누구에게 가르친다는것은 더 많은 것을 알아야 하는 것 처럼 코딩 한다는 것은 어떠한 상황을 컴퓨터에게 가르쳐줘야 하는 것과 같기 때문에 코딩을 하는 것은 더 어려운 것 같습니다. 중복순열이 중복이 가능하.. 2021. 7.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