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102 [AWS] CodePipeline - S3 Client 자동화 자동화를 하는 이유는 수동적이고 반복적인 배포과정을 자동화함으로써 시간을 절약할 수가 있습니다. 또한 사람이 배포를 하다 설정을 잘못하여 실수 할 수 있는 부분도 방지할 수 있습니다. 앞으로 할 부분을 간략히 설명하면, 깃허브에 새로운 코드를 푸쉬하여 올려 놓을 때 마다 AWS에서 자동화 설정을 하면 자동으로 반영됩니다. AWS에서는 자동화 기능을 제공하고 있는데 CodePipeline 에서 설정이 가능합니다. 여기서 파이프라인 생성을 눌러 시작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시작하기전에 S3버킷을 생성하고 정적 웹 호스팅용으로 설정을 미리 해놓아야 합니다. 0. 빌드 파일 생성 최상위 디렉토리에 buildspec.yml 파일을 생성하여 아래의 내용으로 저장합니다. 이 파일을 올리는 이유는 업로드를 하고나서 추.. 2022. 1. 23. [리펙터링 2판] 8장 - 기능이동 요소를 다른 컨텍스트(클래스나 모듈 등)으로 옮기는 일 역시 리팩터링의 중요한 축이다. 그리고 옮기기는 문장 단위에서도 이뤄진다. 반복문 관련하여 자주 사용되는 리팩터링도 있는데, 반복문이 단 하나의 일만 수행하거나 반목문을 완전히 없애버리는 방법이 있다. 마지막으로 대부분 프로그래머가 사용하는 죽은 코드 제거하는 리팩터링이 있다. 8.1 함수 옮기기 내용 함수를 기존에 위치한 곳에서 다른 곳으로 이동 적용 어떤 함수가 자신이 속한 모듈 A의 요소들보다 다른 모듈 B의 요소들을 더 많이 참조한다면 B로 옮겨줘야 한다. 함수의 현재 컨텍스트와 후보 컨텍스트를 둘러보면서 호출하는 함수, 데이터를 파악하여 연관성을 살펴 해결한다. 여러 함수를 묶을 컨텍스트가 필요해지면 클래스묶기(6.9), 클래스 추출하기(7.. 2022. 1. 21. [AWS] HTTPS 적용 대부분의 사이트가 HTTPS를 사용하는만큼 HTTPS로의 설정은 필수로 여겨지기 때문에 설정할 줄 알아야 된다고 합니다. 설정 경로를 이어보자면 아래와 같이 표현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EC2 로드밸런서 route 53 cloudFront S3 여기서는 EC2, S3는 생성 완료 되었다 가정하고 설명했습니다. (Server, Client 순 입니다.) 간결하게 하려 했기에 조금 보기 어려울 수도 있습니다. 1. HTTPS Server 1. Route 53 호스팅 영역 생성 제일 먼저 호스팅 영역을 생성해야합니다. (인증서를 받기 위함) 배포하고자 하는 도메인으로 이름을 짓고 단순히 생성만 하면 됩니다. NS 유형의 값들을 구매한 도메인 사이트에 입력을 해주어야 합니다. 그리고 저는 가비아에서 도메인을 .. 2022. 1. 19. [AWS] RDS RDS는 Relational Database Service의 약자로 AWS에서 제공하는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서비스입니다. EC2 인스턴스에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엔진을 설치해서 데이터를 관리할 때와 RDS를 통해 데이터를 관리할 때의 차이는 EC2 인스턴스를 사용하면 데이터베이스와 관련해서 자동으로 관리를 담당하는 부분이 매우 적기 때문에, 사용자가 일일이 시간을 투자하여 데이터베이스 엔진의 설치와 버전 관리, 데이터 백업을 해야 합니다. 게다가 가용성과 내구성이 확보되지 않기 때문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가 유실되거나 정상적으로 사용하지 못할 확률이 커지며, 후에 필요에 따라 데이터베이스의 규모를 확장하기 어렵습니다. 그에 비해 RDS를 이용하는 것은 RDS를 이용하면 데이터베이스 유지 보수와 관련.. 2022. 1. 18. [AWS] S3 배포 S3는 Simple Storage Service의 약자로 AWS에서 제공하는 클라우드 스토리지 서비스입니다. Amazon S3를 사용하여 데이터 레이크, 웹 사이트,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백업 및 복원, 아카이브, 엔터프라이즈 애플리케이션, IoT 디바이스, 빅 데이터 분석 등 다양한 사용 사례에서 원하는 양의 데이터를 저장하고 보호할 수 있다고 아마존에서는 설명 합니다. https://docs.aws.amazon.com/ko_kr/AmazonS3/latest/userguide/Welcome.html S3 사용 시 얻을 수 있는 이점으로 높은 확장성이 있습니다. 확장성이 높으면 많은 시간과 수고를 들이지 않고 스토리지 규모를 확장/축소할 수 있습니다. 또한 S3에서는 스토리지의 용량을 무한히 확장할 수 .. 2022. 1. 18. [Node.js] express-validator (유효성 검사) 유효성 검사는 클라이언트에서 서버로 요청을 보낼 때, 정확한 데이터를 보내고 있는 것인지 확인하는 것입니다. 서버에서 유효성검사를 최대한 빨리하는 것이 좋습니다. 왜냐하면 서버에서 데이터를 읽는 것도 비용이기 때문에 필수적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서버에서 라우터-컨트롤러로 진행이 되기에 유효성검사는 라우터 부분에서 하는 것이 좋고, 또한 컨트롤러는 기능수행의 역할을 하기에 유효성검사를 같이 하기엔 적합하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보통 유효성 검사를 하게 되면 조건문을 사용하여 유효성 검사를 하게되는데 validator 라이브러리를 사용하면 좀 더 쉽고 보기 좋게 유효성 검사를 할 수 있습니다. npm install --save express-validator 공식문서에서는 아래의 코드처럼 간단하게 설명하고 있.. 2022. 1. 14. 이전 1 ··· 3 4 5 6 7 8 9 ··· 1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