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nux] 심화
1. Read, Write, Execute 사용 권한 1) 권한에 대한 개념 r은 read권한으로 읽기, w는 write권한으로 쓰기, x는 execute권한으로 실행을 의미합니다. r, w, x 각 문자가 적혀있으면 해당 권한이 있는 것이고, - 라고 표시되어있으면 해당 권한이 없습니다. 폴더 생성 명령어 mkdir 파일 생성 명령어 nano (파일이름.확장명) 생성후, 파일안 내용 입력하고 ctrl + x, y, enter 누르면 파일 생성 권한 확인 명령어 ls -l 아래는 권한에 대한 설명을 간략히 나타낸 표 유형 r w x d(디렉토리, 폴더) 권한이 없으면 디렉토리 목록을 볼 수 없음 권한이 없으면 해당 디렉토리에 파일을 추가할 수 없음 디렉토리에 접근하는 권한, 권한이 없으면 rw권한이 모두..
2021. 7. 19.
[HTTP/네트워크] 기초
클라이언트-서버 아키텍처 클라이언트(client, 손님)와 서버(server, 서빙하는 사람)라는 단어의 어원을 떠올리면, 보다 이해가 쉽습니다. 리소스에 접근하려는 앱은, 카페로 치면 손님과 같습니다. 손님은 아메리카노를 획득하기 위해, 리소스를 가지고 있는 점원에게 요청해야 합니다. 손님의 요청에 따라, 점원은 리소스를 담아 응답합니다. 이처럼 클라이언트와 서버는 요청과 응답을 주고 받는 관계입니다. 클라이언트-서버 아키텍처에서는 요청이 선행되고, 그 후에 응답이 옵니다. 요청하지도 않았는데, 응답이 오는 경우는 없습니다. 클라이언트처럼 사용자가 직접 눈으로 보고, UI를 클릭 또는 터치하는 등의 상호작용을 할 수 있는 앱을 주로 개발하면 프론트엔드 개발자라고 합니다. 반면, 사용자 눈에 보이지 않지..
2021. 6. 24.